아이작 왓츠의 교회음악
근대 교회 찬송가의 길을 터놓아 '영국 찬송가의 아버지'라고 불리우는 아이작 왓츠는 칼빈의 신학을 따른 회중교회의 목사였으나, 건강이 좋지 않았으므로 홀로 요양하면서 찬송시를 쓰기 시작하였다. 당시 개신교의 여러 교회안에서는 운율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었는데, 이를 영어 찬송가로 발전케 한사람이 아이작 왓츠였으며, 영국 개신교 찬송의 신기원이 그와 함께 시작하였다.
왓츠는 신학적으로는 칼빈의 주장을 받아들이지만 교회음악적으로는 그와 다른 입장을 취하였다. 시편을 그대로 불러야 한다는 칼빈의 규범에 반대하면서 교회의 노래는 시편송일지라도 복음의 빛에 비추어 재해석된 복음적인 내용이어야 하며, 시편의 각 구절을 그대로 운율시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그 내용의 정신은 간직하면서 복음적으로 자유롭게 노래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찬송은 노래하는 사람들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그가 만든 찬송가집 [찬송과 신령한 노래]에 성경에 근거하고 신성한 제목으로 작시된 찬송가와 주의 만찬을 위한 찬송가를 수록하였다. 그 안에는 그의 유명한 찬송가 '주 달려 죽은 십자가147장'과 '웬 말인가 날 위하여141장'등이 들어있다.
그의 찬송가는 여러 가지 특징이 있는데 다음과 같다.
1. 고전성과 객관성을 지닌 찬송가로 찰스웨슬리와 마찬가지로 하나님과 인간의 영혼에 관심을 두면서도 모든 세계, 인류, 역사, 우주, 영원을 배경으로 찬송시를 썼다.
2. 십자가를 중심으로 찬송시를 썼는데, 그는 성경 안에 있는 구원의 드라마를 현실적인 드라마로 느끼고 깨닫게 하는 찬송가를 지었다.
3. 왓츠는 찬송시를 쓸 때, 주일 예배의 설교와 직접 관련하는 내용을 선택하였다.
4. 왓츠의 찬송가는 단순한 선율에다 간단한 화성을 붙인 것으로 이루어졌다.
5. 그는 교회력의 절기에 따른 찬송가를 썼다.
존 웨슬리와 찰스 웨슬리의 교회음악
왓츠의 조금 뒤에 감리교의 창시자인 존 웨슬리와 그의 동생 찰스 웨슬리는 영국의 부흥 운동은 물론, 부흥 찬송에서도 개척자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존 웨슬리는 감리교 창시자로, 찰스 웨슬리는 찬송시인으로서 영국사회를 변화시키는 일에 크게 공헌하였다. 존 웨슬리는 그리스도인의 찬송을 위하여 독일어 찬송을 영어로 번역하여 찰스의 찬송과 함께 출판하는 일을 지도하였다. 찰스는 무려 6500편의 찬송시를 쓴 영국의 가장 위대한 찬송가 작가로서 형을 도와 부흥 운동에 가담하였다.
칼빈과 다른 입장을 지닌 찰스 웨슬리의 찬송가의 특징은 첫째 찬송시 안에 '모든'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고, 둘째 하나님과 인간의 영혼을 가장 중요한 주제로 생각해서 신약 성경의 뜻과 신앙을 토대로 하여 찬송시를 써 성령의 역사가 충만한 가운데 이루어진 내적인 영적 경험을 반영했으며, 셋째 왓츠의 웅장하고 객관적인 특성을 지닌 찬송시와는 반대로 자애로움과 주관적인 내용을 가지고 있다. 넷째 공중에배와 개인에배에 밀접히 관련시켜 찬송시를 썼으며, 다섯째 다양한 운율을 사용해 작곡을 하였다.
또한 그가 지은 찬송의 특징은 다양한 종교적, 사회적, 경제적 배경을 지니고, 다양한 신학적 이해를 지닌 다양한 사람들에게 불려진다는 것이며, 그리스도 안에 있는 모든 사람을 위한 구원이라는 부흥운동의 중심 주제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반세기에 걸친 복음적 부흥 운동이 끝날때까지, 웨슬리 형제는 64권의 찬송가집과 3권의 곡조 집을 출판했으며, 경건을 위한 예배와 설교의 핵심으로서 말과 노래의 결합이라는 것을 성취했다.
전체적으로 보아 아이작 왓츠는 영국 찬송가의 창시자로서 경건하고도 객관적인 찬송을 지어 모든 사람이 정규 에배시에 부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국 찬송가의 신기원을 이루었다. 그리고 약 반세기 후에 나타난 존과 찰스 웨슬리는 왓츠의 전통을 게승하면서도 주관적이요 영적인 찬송가를 지어 영국에어 심령 운동을 전개하는 일과 영국 사회를 혁신하는 일을 위하여 큰 공헌을 이룩하였다. 그러므로 왓츠는 역국 찬송가의 창시자로서, 그리고 찰스 웨슬리는 영국 찬송을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발전시킨 찬송가 작곡가로써 쌍벽을 이룬다고 볼 수 있다.
교회음악의 기능 및 역할
교회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음악이라고 하면, 어느 정도는 교회음악의 범위가 한정된다. 그러나 이렇게 막연하게 표현한다면 반드시 세곳음악과의 충돌이 생길 것이다.
문화안에서의 음악은 자유로울 수 있으나 신앙안에서의 음악은 결코 자유로울 수 없으므로 교회 음악은 희생이 있을 수밖에 없다.
교회 음악에는 여러 가지 기능이 있는데 예배의 기능, 복음 전도의 기능, 교육의 기능, 목양의 기능, 교제의 기능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배의 기능
교회 음악은 에배의 기능을 가져야 한다. 이는 교회 음악의 기능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예배를 돕고 인도하는 기능을 말한다. 음악은 하나님과 인간관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고 유익하게 교통할 수 있는 것으로 하나님이 함께하심을 표현하고 하나님의 무한하신 은혜에 대해 우리의 긍정적인 응답을 드리는 즉, 음악을 통하여 찬양과 감사와 고백과 헌신과 기원을 하나로 하여 드리게 한다.
'찬미의 제사'란 회중찬송과 훈련된 악기 연주와 목소리를 통하여 그리고 다른 방법들을 통하여 하나님께 드림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교회음악은 본질로 보나 기능적으로 보나 예배음악인 것이다. 따라서 교회음악은 하나님의 영광만을 위하여 사용될 때, 즉 예배를 위하여 사용될 때 그 가치가 뚜렷해진다고 하겠다.
'음악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회음악학]예배음악으로서의 교회음악 (0) | 2020.03.21 |
---|---|
[교회음악학]교회음악의 기능 및 역할은 무엇인가? (0) | 2020.03.20 |
[교회음악학]종교개혁 시대에 나타난 교회음악2, 칼빈의 교회음악 (0) | 2020.03.20 |
[교회음악학]종교개혁 시대에 나타난 교회음악 (0) | 2020.03.20 |
[교회음악학]교회음악의 역사, 신약에 나타난 음악 (0) | 2020.03.20 |